교육방송국 HUBS
"진리의 소리, 깨어있는 방송"
정확한 보도와 공정한 언어 창달을 다짐하여 온 본 방송국에서는,
매 학기 참신하고도 유익한 내용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합니다.
학우분들이 참여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고
5월 가요제와 11월 방송제라는 축제의 장을 만들어,
학우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HUBS의 대본 원고 모음 https://cafe.daum.net/HUBS
📌HUBS의 라디오 재청취 https://m.youtube.com/@hubs6866
📌HUBS의 소식 보기 https://www.instagram.com/hansei_hubs
fnctId=bbs,fnctNo=564
- 글번호
- 27302
- 작성일
- 2025.10.14
- 수정일
- 2025.10.14
- 작성자
- hansei_hubs2
- 조회수
- 16
- IP
- 58.29.28.110
HUBS 라디오 [체스 세계 이야기] EP.05 체스에서 뛰어났던 사람들을 이야기하는 라디오
.
.
.
.
.
M2c.
챔피언으로서 보트비닉은 다양한 일화를 남깁니다. 1954년의 체스 챔피언전에서는 도전자 바실리 스미슬로프와의 대결에서 12대 12로 무승부를 거두며, 챔피언 자리를 지켜냅니다. 이 둘은 3년 뒤의 체스 챔피언십에서 다시 만나고, 1957년에는 스미슬로프가 승리하며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합니다. 이듬해인 1958년에 또 챔피언십이 개최됩니다. 이번에는 보트비닉이 승리하며 타이틀을 빼앗는 데에 성공합니다. 1960년대에는 미하일 탈에게 패배하며 챔피언 자리를 내주지만, 이듬해인 1961년 탈을 상대로 승리하며 다시 챔피언이 됩니다. 이렇게 보트비닉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한 챔피언 생활을 했습니다.
.
.
.
.
.
.
M3b
보트비닉은 세계 최고의 체스 지성인이기도 했지만, 컴퓨터 공학자이기도 했습니다. 1940년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서방권에서는 기계가 체스를 할 수 있을까? 라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소련의 보트비닉 역시 기계가 체스를 둘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을 품습니다. 1960년 보트비닉은 피오네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미 당시부터 컴퓨터 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었지만, 체스 컴퓨터에게 가능한 모든 수를 두도록 명령하는 데에 그쳤고, 당시의 컴퓨터 성능으로는 그런 계산만으로 좋은 수를 둘 수 없었습니다. 보트비닉은 컴퓨터에게 인간적인 사고 과정을 입력합니다. 상황을 이해하고,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틀린 계획을 수정하도록 합니다. 모든 수를 계산하기보다는, 체스 상황을 이해하도록 학습시켰습니다. 1967년 세상에 나온 피오네르의 결과물은 성공이라고 보긴 어려웠습니다.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승리를 거두지만 상위권 선수들과 경쟁할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당시의 컴퓨터 성능이 너무 낮았던 탓이었죠. 보트비닉이 기대한 만큼의 성능은 아니었습니다.
.
.
.
.
.
.
앞으로도 체스의 다양한 선수와 역사,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체스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물론,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즐길 수 있는 방송입니다.
수요일 점심, <체스 세계 이야기>에서 만나요!💗
.
https://youtu.be/jKzoBFZcGkA
.
.
.
.
M2c.
챔피언으로서 보트비닉은 다양한 일화를 남깁니다. 1954년의 체스 챔피언전에서는 도전자 바실리 스미슬로프와의 대결에서 12대 12로 무승부를 거두며, 챔피언 자리를 지켜냅니다. 이 둘은 3년 뒤의 체스 챔피언십에서 다시 만나고, 1957년에는 스미슬로프가 승리하며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합니다. 이듬해인 1958년에 또 챔피언십이 개최됩니다. 이번에는 보트비닉이 승리하며 타이틀을 빼앗는 데에 성공합니다. 1960년대에는 미하일 탈에게 패배하며 챔피언 자리를 내주지만, 이듬해인 1961년 탈을 상대로 승리하며 다시 챔피언이 됩니다. 이렇게 보트비닉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한 챔피언 생활을 했습니다.
.
.
.
.
.
.
M3b
보트비닉은 세계 최고의 체스 지성인이기도 했지만, 컴퓨터 공학자이기도 했습니다. 1940년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서방권에서는 기계가 체스를 할 수 있을까? 라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소련의 보트비닉 역시 기계가 체스를 둘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을 품습니다. 1960년 보트비닉은 피오네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미 당시부터 컴퓨터 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었지만, 체스 컴퓨터에게 가능한 모든 수를 두도록 명령하는 데에 그쳤고, 당시의 컴퓨터 성능으로는 그런 계산만으로 좋은 수를 둘 수 없었습니다. 보트비닉은 컴퓨터에게 인간적인 사고 과정을 입력합니다. 상황을 이해하고,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틀린 계획을 수정하도록 합니다. 모든 수를 계산하기보다는, 체스 상황을 이해하도록 학습시켰습니다. 1967년 세상에 나온 피오네르의 결과물은 성공이라고 보긴 어려웠습니다.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승리를 거두지만 상위권 선수들과 경쟁할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당시의 컴퓨터 성능이 너무 낮았던 탓이었죠. 보트비닉이 기대한 만큼의 성능은 아니었습니다.
.
.
.
.
.
.
앞으로도 체스의 다양한 선수와 역사,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체스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물론,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즐길 수 있는 방송입니다.
수요일 점심, <체스 세계 이야기>에서 만나요!💗
.
https://youtu.be/jKzoBFZcGkA
- URL